영어는 세계 공용어로써 많은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언어이다. 우리도 일상 생활 속에서 수많은 영어 단어를 접하며 살고 있다.
우리는 초등학교부터 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받는다. 또 개인적으로 영어 학원을 다니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영어 교육에 힘을 많이 쏟는 나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영어 사교육비 지출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영어구사 실력은 30위 정도다. 영어 교육에 대한 지출이 크다면 그만큼 영어 실력도 좋아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왜 그럴까?
현재 우리가 받고 있는 영어 교육은 학교·사교육 모두 내신에 집착하고, 입시에 중점을 맞춘 교육이다. 그래서 문법과 리딩에 치중한 수업이 대부분이다. 우리에게 영어는 내신 점수를 따기 위해, 수능에서 고득점을 얻기 위해, 필연적으로 해야 하는 공부를 위한 공부다.
원어민들이 한국의 수능 문제를 푸는 영상을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한다. 이 결과에 대해서 그들은 "우리나라의 영어가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다.", "원어민들도 배우지 않는 문법적인 내용이 실려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한다.
|
|
|
|
우리나라에서의 영어는 '시험으로서의 영어'와 '언어로서의 영어'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영어, 수능, 토익, 토플 등은 시험으로서의 영어에 포함된다. 그래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사람도 원어민보다 높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 토익 시험 점수가 만점에 가까워도 영어로 대화를 잘하지 못하는 이유다. 언어로서의 영어는 말 그대로 의사소통의 도구로 사용되는 영어를 의미한다. 원어민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필요로 하는 영어는 시험으로서의 영어다. 대한민국에서 입시를 치르는 학생들은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풀어나감으로써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증명해야 한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영어에 대해서 거부감을 느끼지만,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 소통이 아닌 시험이라는 치열한 경쟁을 거쳐야 한다.
이런 문제는 영어라는 한 과목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세계는 변하고 있다. 그 변화에 발 맞춰, 기존 교육의 틀을 깨야 할 때다. 계속해서 시험으로서의 영어만 고수한다면, 이는 가성비가 떨어지는 교육이 될 것이다.
미국은 문맹률이 높지만, 글을 모른다고 해서 말을 못하는 경우는 없다. 우리나라는 영어 점수는 높지만, 영어 소통은 성인이 되어도 보통 이하다. 그래서 영어 소통을 위해 또다시 사교육을 찾는다. 언어는 굳이 공부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이다. 영어 점수에 구애받지 않아도 Free Takling을 구사할 수 있다. 문법에만 치중한 말이 안되는 영어 대신 샐생활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배울 수 있다면, 앞으로의 영어 사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앞으로의 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지는 재미있는 수업이 되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