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장 근처를 지나다 보면, 가림막 벽면에 짓고 있는 건물의 예상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을 볼 수 있다. 이 그림들의 정의와 역할은 무엇일까?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조감도 그래픽 디자이너 '김현기'씨를 인터뷰했다.
Q . 조감도와 투시도의 정의와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 "조감도는 새가 보는 관점에서 보는 그림을 의미하며, 보통은 하늘에서 보는 건축물 그림을 조감도라고 합니다. 투시도는 말 그대로 사람 눈높이에서 보는 건축물 그림을 의미하며, 사람들의 눈높이 이미지이기 때문에 가장 편안하게 보여지는 그림입니다."


Q. 그렇다면 이러한 그림들은 어떠한 역할을 하나요?
A. "건축사무소에서 디자인한 건축물이 실제로 어떤 모습일지 보여주고,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도 미리 가시적으로 보여줍니다. 또, 주변과 어떻게 어울릴지도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건축물 도면의 미래 사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Q. 작업은 어떤 식으로 진행되나요?
A. "보통은 건축 사무소에서 건축 캐드라는 프로그램으로 건축물을 디자인하고 도면을 제작하면, 그 도면을 받아서 3D-MAX라는 프로그램으로 3D로 모델링을 합니다. 그후 3D MAX에서 가상의 카메라를 생성해, 여러가지의 조감도뷰 및 투시도뷰를 선정합니다. 다음으로, 각자의 조감도뷰 및 투시도뷰를 이미지화하는 작업을 합니다."
Q. 지금까지 작업한 그림들 중에서 기억에 남는 그림이 있다면?
A. "남극에 있는 '장보고 기지'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극한환경에서 버틸수 있는 건물의 모습을 작업한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 있는 환경과 다른 추운 환경에 있는 건축물을 표현하는 것이 힘들기도 했고, 색달랐으며 재미있었습니다. 기억에 많이 남았던 프로젝트 였던것 같습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신 '김현기' 그래픽 디자이너님에게 감사드리며, 인터뷰로 많은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어서 좋았다.